본문 바로가기

한자 사자성어글

과이불개 시위과의 過而不改是謂過矣, 인간의 이기심이 주는 상처 과이불개 시위과의, 인간의 이기심이 주는 상처  오가는 말의 파편은 마음을 일그러지게 한다. 아울러 그 마음이 다치고 밤잠을 설치게 한다. 종내는 분심 憤心과 분심 分心이 엉키게 된다.   제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불평을 하고  짜증을 내서 주변을 불편하게 한다. 눈으로 보지 않은 일에는 ​사람마다 상황마다 다르다. 그래서 함부로 예단해서는 안되는데  인간의 이기심은 판단을 고장나게 한다. 그 판단이 말하는 자의 품격과 품위로 이어진다. 말하는 사람의 성품이 나빠서가 아니다.  다만 어리석은 이기심과 소인배적 삶이 문제인 것이다.​ 우리는 서로 다른 인간관계 속에서  양보와 인내의 처신을 배워야 한다. 그것이 공존하는 조직내의 처신이라면  더욱 이기적인 사심은 금물이다. 맹자는 인간의 가장 큰 병폐를  .. 더보기
평정심, 성숙한 삶의 지혜, 평정심 유지하는 방법. 삶의 연속선상에서 사회생활이나 조직에서 더불어 살다 보면 때로는 험담을 듣거나 대화에서 모욕적인 상황에 놓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감정대로 대응하다가는 소인배처럼 휘말리게 됩니다. 성경에서도 악의 세력이든 아니든  긍정하는 무리들이 있어 존재한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나를 모욕한다해서 부정하지 말고  그 내용을 들어 개선할 부분이 있으면 고치면 됩니다. 이 마음 자세의 기본이 바로 ''평정심平靜心'입니다. 역사적으로 볼때 진실은 드러나 증명하게 되고 선함은 악함을 누르게 됩니다. 그 증거가 바로 세상이 다수의 진실과 선함에 의해 희망적으로 돌아가고 있음입니다. '평정심平靜心'이란평정심이란  감정의 기복이 없이 평안하고 고요한 마음,  외부의 어떤 자극에도 동요되지 않고  항상 평안한 감정을 유지하는 .. 더보기
화기치상 和氣致祥 긍정과 희망의 생각, 좋은 결과의 사자성어! 하나! 심란한 생각 얼마 전부터 한 사람이 미워지기 시작했다. 지나온 기억들이 온통 어두운 빛깔이다. 나 스스로를 반성해 보면 또한 잘한 것이 없지만 쉽게 마음정리가 되지를 않는다. 부정을 치우고 그 자리에 긍정을 앉혀야겠다는 화급함이 숙제처럼 따라 붙는다. 그래도 한 때는 늘 고마운 사람이었다. 둘! 따뜻한 생각 홍보 용역비 입금이 안 됐다. 전화를 했더니 "걱정 마라."라고 한다. 10여 일이 지났는데도 약속은 안 지켜졌다. 전화를 했더니 "2~3일 내로 보내겠다." 한다. 그러나 또 10여 일이 지났는데도 결과는 마찬가지라서 "끝낼까" 아니면 "긍정적으로 사정을 들어 볼까"로 생각이 나뉘었다. 초면도 아니라서 긍정적인 단어 선택으로 대화를 마쳤다. 바로 입금이 이뤄졌다. 긍정이 부정을 이겼다. '화.. 더보기
불가근 불가원 소인배를 대하는 처세법 불가근 불가원 (不可近不可遠) -가까이할 수도 멀리할 수도 없음 소인배를 너무 가까이하면 다치기 쉽고 너무 멀리하면 해코지 하므로 적당한 거리를 두라. 꽃은 가만 있는데 보는 이 마다 예쁘다 하기도 미웁다 하기도 한다 인간의 마음은 치사하고 간사하고 변덕스럽다 사람 대하는 처세가 사람마다 달라야 하니 사는 게 참 어렵다. 불가근 불가원(不可近不可遠)이 글자 그대로 '가까이 가지도 멀리 가지도 말라' 쯤으로 별 의미 없이 알았는데... 오늘 참 심오한 진리를 터득한 듯 싶다. 이 한자 성구가 어쩌면 심사가 쪼그라든 못난 인간들에게 어울리는 말일까... 좀 가깝게 대해주면 속된 말로 올라 타려 하고 좀 거리를 두거나 관심 밖으로 멀리하면 못된 험담이나 하고 다닌다. 상처를 입히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못된 언행.. 더보기
박학설약이 주는 교훈, 미련한 자는 말을 많이 한다! '박학설약 博學說約'과 "미련한 자는 말을 많이 한다." 가톨릭 구약성경에 이런 구절이 있다. "미련한 자는 말을 많이 한다." (코헬렛 10:14) 지혜와 교훈과 명언이 집대성된 시서와 지혜서 중 코헬렛에 나오는 경구이다. ('코헬렛'이라는 말은 ‘회중(會衆:많이 모여 있는 사람들)을 모으는 사람’이나 ‘설교자’를 뜻한다. 코헬렛의 그리스어 명칭 Ecclesiastes(전도서)는, 히브리어 명칭인 '코헬렛'을 옮긴 것이다.) 어느 모임이건 좌장의 위치에 있거나, 만남의 형식인 자리에서 연장자이거나, 격식이 없는 미팅인 경우 주최자이거나 일 때에 소위 마이크(=말하는 기회)를 독식하는 사람이 있다. 그것도 전문 지식이나 좌중에게 필요한 내용이면 얼마나 다행이고 good인지 모른다. 그러나 그 얘기의 내용.. 더보기
박시제중 博施濟衆 은 함께 사는 세상을 향한 의미 박시제중 博施濟衆 博 : 넓을 박 施 : 베풀 시 濟 : 구제할 제 衆 : 무리 중 널리 은혜를 베풀어 대중을 구제한다. 군주나 정치인들이 정사를 잘 돌보거나, 의료인들이 인술(仁術)을 펼칠 때 흔히 쓴다. ‘박시제중’은 의업과 인연이 참 깊은 말이다. 수백 년 동안 조선에서 의료를 도맡았던 한약방 문 앞에는 어김없이 이 글이 걸려있었다고 한다. ‘박시제중(博施濟衆)’은 자신의 것이든 자신이 처분할 수 있는 것이든 널리 나누어서 사람이 겪고 있는 문제 상황을 도우라는 뜻이다. 그 의미가 추상적이어서 분명하게 전달되지 않는다. 박시제중 博施濟衆 의미, 상생하며 공존하는 것! 박시제중 博施濟衆은 그 범위를 무한정으로 잡으면 아득한 경구가 되고 말 것이다. 정치니 의술이니를 떠나서 자신이 할 수 있는, 가능한.. 더보기
무용지용 無用之用과 프레임과 패러다임의 인식의 차이! 잎만 무성한 나무를 두고 갑론 을박 합니다. 목재로 쓸 수 없으니 베어 버리자는 무용론과, 잎이 무성한 여름에는 그늘을 주어 좋다는 유용론이 맞선 형국입니다. 세상 일을 소아적인 작은 범위로 보게 되면 아집이 자리 잡게 됩니다. 아집이 굳으면 상대가 자신의 생각과 다르니 비난과 공격의 대상이 됩니다. 배려와 상대방의 입장에 서는 '역지사지(易地思之)'보다 한 층 더 깊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사자성어가 바로 '무용지용 無用之用'이 아닌가 싶습니다. 동일한 사안을 두고 쓸모있는 것과 쓸모없는 것으로 양분되는 것은 아집이 다른 한 쪽의 사고를 막아 버린 탓입니다. 이를 프레임이라고도 하고 패러다임이라고도 하여 날고자 하면서도 한 쪽 날개를 접어 버린 격입니다. 만물의 영장이라는 사람의 인식 체계는 어쩌면 대단.. 더보기
회자정리 會者定離! 만나면 언젠가 헤어지는 건 당연한 진리! 어느 모임에서 간부직을 맡다가 6년만에 단체長을 끝으로 사임을 했다. 직접적인 요인으로는 더 상급의 간부로 임명이 됐기에 하급의 단체장을 사임해야 하는 규정 때문이기도 했다. 회자정리 會者定離! 만났으니 언젠가 헤어지는 건 지극히 당연한 순리다. 대개의 경우는 헤어짐에는 서운함과 아쉬움이 동반해야 하는 데 때로는 시원하게 홀가분한 기분으로 마무리를 짓기도 할 것이다. 회자정리 會者定離 會 모일 회 者 사람 자 定 반드시 정 離 헤어질 리 "사람의 만남은 반드시 헤어진다." 인간의 이기심은 산업화를 떠나서라도 4차산업으로 가는 SNS 문화가 더욱 가속화시키는 것 같다. 우리 사회 전통이엇던 상부상조의 따뜻한 정리는 극단적인 이기심으로 '나와 내 가족'으로 점차 좁혀 드는 추세다. 어느 단체이건 자신에게 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