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holic & Legio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5 파스카 성삼일 다음의 부활절 날짜 의미와 사순시기! 이 겹칩니다. 이맘때 쯤이면 가톨릭이든 개신교이든 기억에 남는건 예쁜 계란 두개와 부활절 행사입니다. 사순시기, 사순절과 더불어 성삼일을 지나 부활절에 이르는 시기가 바로 지금의 봄날입니다. 사순 시기는 파스카 축제를 준비하는 마련된 기간으로, 재의 수요일부터 주님 만찬 성목요일의 주님 만찬 미사 직전까지 계속됩니다. 한국 천주교에서는 공식적으로 사순 시기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사순절'이라는 표현을 공식 문헌에서 쓰지 않는 이유는 일상에서 쓰는 '사순절', '부활절' 등의 '~절'이 특정 날과 시기 중 어느 쪽을 가리키는지 그 의미가 모호하기 때문입니다. 성삼일과 부활절(復活節, Easter)은 그리스도교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입니다.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 그리고 부활을 기념하는 절기입.. 더보기 WYD 가톨릭세계청년대회 2027년 서울 개최, 의미와 특징 ‘2027 서울 WYD’ (World Youth Day, 세계청년대회) 2027년 WYD 가톨릭세계청년대회 개요 가톨릭 교회가 지난 1986년부터 매년 거행하는 세계 젊은이의 날[1]의 국제 단계(International Level) 행사. 평소에는 교구 단계로 지역 교회에서 거행하지만 2~4년 간격으로 교황이 지정한 교구에서 7월 또는 8월에 대규모의 국제 종교 행사로 개최한다. 1986년 3월 23일 로마에서 제1차 세계청년대회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 세계청년대회는 교황이 전세계 젊은이들을 모으는 행사이므로 교황이 직접 참석한다. 2027년 WYD 가톨릭세계청년대회 준비 현황 2027 서울 WYD는 아시아에서는 1995년 필리핀 마닐라 대회 이후 2027년 8.. 더보기 2027 WYD Catholic World Youth Day Held in Seoul, Meaning and Features '2027 Seoul WYD'(World Youth Day, World Youth Day)The hot topic of Catholicism these days is definitely the 'WYD Catholic World Youth Day' to be held in Seoul in 2027.The prayer movement targeting Catholic predecessors, 'Praying 1 Billion Rosaries', is a mandatory activity assignment for members of the Legion of Mary.It is true that it is a big event for Catholics as well as countries, regardles.. 더보기 세계 5대 성인의 사상과 예수는 어떻게 신이 되었을까? 인간 예수는 어떻게 신이 되었을까? 예수가 공생활을 시작한 시기는 유대 민족(이스라엘)이 로마의 식민 통치를 받던 때이고, 당시 상황은 유대교와 로마의 여러 신들이 혼합되어 있었다. 그러던 때에 선지자 예수의 활동은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고, 마침내 율법주의자 유대인들에 의해 예수는 십자가형을 당했다. 그후 점진적으로 확장해가는 그리스도교는 유대인들의 강력한 경계 대상이었다. 제1차 유대-로마 전쟁은 66년에 발발했는데, 그리스계 로마인과 유대인 사이 종교적 분쟁에서 시작되었다. 이 전쟁은 기원후 70년 티투스가 이끄는 로마군이 예루살렘을 함락하고, 예루살렘 성전을 불태우고 유대인 저항군을 진압함으로써 끝이 났다. 이 유대인 반란 결과로 유대인은 국가를 잃어버리고 로마 제국 전역으로 흩어진 디아스포라가 본.. 더보기 선교와 전교, 가톨릭 온라인선교의 필요성과 방법 및 사례에 대한 강의 선교와 전교, 가톨릭 온라인선교의 필요성과 방법 및 사례에 대한 강의 가톨릭의 온라인 선교 활용 방법과 사례에 대한 교육을 겸한 강의가 있었습니다. ▶일시 : 2023년 11월 25일 14시~16시 ▶장소 : 천호동 성당 소성전 ▶강의 내용 : 온라인 선교에 필요한 실무 ▶강사 : 박대옥 야고보 ▶▶'가톨릭홍보관'운영자/동서울 레지아 서기 강의순서 1. 온라인 선교의 필요성 2. 온라인 선교 방법 3. 온라인 선교 사례와 현황 전교 / 선교 정의 한국가톨릭대사전 – 동일한 의미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널리 전하는 행위” 전도라는 개념이 불신자에게 복음을 직접 전하는 행위에 국한된다고 한다면 선교라는 개념은 전도보다 더 포괄적이어서 교회의 모든 전도활동과 사업을 포함하고 있다. 전교 / 선교에 관한 성경.. 더보기 온라인 선교 '가톨릭온라인홍보관',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 온라인 선교 '가톨릭온라인홍보관',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 2023년 2월! 하남의 구산 성지에는 눈이 쌓여 있었다. 텅 빈 성전에서 기도를 하며 답을 구했다. 온라인 선교로의 길에서 레지아 간부직을 선택한 바람이 옳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게 해달라고! "네가 의롭다 여기면 가거라!"라는 답을 얻고 성전을 나왔다. 10년 전 2013년 6월 2일! 블로그에 온라인 선교의 목적으로 첫 글을 썼다. 이후 보다 전문성을 갖기 위해 '가톨릭 홍보관'이라는 타이틀로 2018년에는 유튜브에, 2020년에는 블로그에 독립된 채널을 개설하였다. 지난 10년간 '온라인 선교'에 대한 노력은 진행중이고 유튜브와 블로그로, 즉 텍스트와 영상으로 '가톨릭 홍보관'을 세분화하여 나름 개인적인 노력으로 심층적인 데이터를 보.. 더보기 나사렛 예수의 일생과 로마와 기독교 그리스도교의 창시자 예수 나사렛의 예수, Jesus of Nazareth (세계사를 움직인 100인) 출생 BC 7경 - 사망 AD 26경 그리스도교의 창시자. 기원전 7년경 베들레헴에서 탄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고향인 나사렛 근처를 돌며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고, 사람들의 출신이나 지위에 관계없이 모두를 평등한 하느님의 자손으로 대했다. 그의 사후 제자들이 각국으로 퍼져나가며 그리스도교를 전 유럽에 전파했다. 예수는 그리스도교를 비롯한 여러 종교에서 대단히 중요하게 여겨지는 인물이다. 그리스도교인들은 그를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난 신'으로 여기며, 이슬람교에서는 그를 선지자 중 한 사람으로 여겨 존경한다. 힌두교에서도 예수가 크리슈나의 사랑을 받은 아들로 신에 대한 의식을 일깨워주기 위해 지상.. 더보기 가톨릭의 성호 긋기와 성호경 바치는 방법과 역사와 의미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어떠한 기도를 바치든지 성호경으로 시작하고, 끝날 때도 언제든지 성호경으로 끝난다. ‘성호’는 말뜻으로만 보면, ‘거룩한 표지’이지만 이 용어는 ‘십자 성호’(十字聖號)의 줄임말이다. 그리고 성호경은 이 ‘십자성호’를 그으면서 하는 가장 짧으면서도 중요한 삼위일체 신앙고백 기도문이다. 모든 전례뿐 아니라 교우들의 일상생활의 시작과 마침을 이 성호경을 바치면서 모든 일을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행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가톨릭 신문-) 성호(聖號, Sign of the cross)는 가톨릭·정교회·오리엔트 정교회·아시리아 동방교회·성공회·루터교회에서 행하는 기독교 예식이다. 개신교는 성경에 나오지 않는 다른 전례들과 같이 취급한다. 성호는 모든 기도와.. 더보기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