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생활이나 인간관계중에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할 수 있지만,
주변 사람과의 관계는 인생을 좌우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주변에 타인을 험담하거나 폄하하는 습관이 있는 사람은,
매사 부정적이고 불평, 불만만 늘어놓기 때문에
언제나 분위기는 밝지 않습니다.
이런 사람이 있다면 의도적으로 관계를 멀리하는 게 좋습니다.
딱 들어 맞는 사자성어는 '근묵자흑 近墨者黑'입니다.
행운은 선택이 아니지만, 불행은 자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근묵자흑을 알면서도 끊어내지 못한다면
불행은 서서히 자초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입니다.
인생을 늪에 빠뜨리는 대표적인 잘못 중 하나가
바로 험담을 하거나 부정적인 사람을 곁에 두는 것입니다.
만나지 않으면 좋을사람
첫째, 매사에 부정적인 사람
둘째, 기 빨리는 사람
셋째, 자신 숨기고 남 얘기만 하는 사람
부정적인 사고를 가진사람의 특징 5가지
1. 기본 예의가 없다
과격한 표현으로 분란을 일으키고도 뭐가 문제인 줄 파악 못 한다.
인간에 대한 예의가 없기에 이들과 온전한 대화를 한다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
2. 사소한 것에 집착한다
사소한 것에 쉽게 분노한다. 대수롭지 않게 넘어갈 일도 흥분한다.
말꼬리 잡는 말투가 습관이다.
세상의 크고 중요한 문제는 등한시하면서 작고 하찮은 것에는 목숨 건다.
3. 맥락을 파악할 줄 모른다
달을 보라고 가리키면 손가락만 쳐다본다.
그러면서 손톱이나 손 모양 등 전혀 중요하지 않은 걸 물고 늘어진다.
문맥을 읽지 않고 지엽적인 것만 물고 늘어지는 스타일이라 할 수 있다.
모든 건 맥락 안에서 의미를 파악해야 한다.
특정 부분만 잘라 자기 멋대로 오해하며 비난한다.
4. 개선할 의지가 없다
항상 안 좋은 방향만 언급한다.
팀원 중 이런 타입이 있으면 아이디어 내는 것도 부담스럽다.
정작 자기가 해야 할 일은 미루고 미루다 엉망으로 해놓고 여지없이 남 탓한다.
창의력은 핑곗거리 댈 때만 발휘한다.
5. 자기 성찰이 없다
자기반성이 없다.
그래서 본인 잘못을 모른다.
문제의 원인을 밖에서만 찾는다.
자신에게는 관대하지만, 타인에게는 엄격하다.
매사 부정적인 사람은 전체적인 기운부터가 탁하다.
부정적인 사람을 곁에 두면 본인도 세상을 삐딱하게 보게 된다.
바구니에 썩은 걸 같이 담아두면 멀쩡한 음식도 상하는 법이다.
부정적인 사람의 특징은 무엇일까?
10가지를 소개해 드립니다.
1. 지나친 자기 확신이 있고, 마음이 닫혀 있습니다.
타인의 말을 듣는 것처럼 보일 때도 있지만,
결국 자신의 생각을 고집하며, 옳다고 여깁니다.
마음이 닫혀 있습니다.
변화를 위한 다른 생각과 행동을 시도하지 않기에 성장하지 못하며,
자기발전에도 정체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2. 타인에 단점, 실수, 잘못을 잘 찾습니다.
부정적인 사람은 타인의 결점을 잘 찾아내는
렌즈를 눈에 착용하고 있는 사람 같습니다.
이로 인해 인간관계에 문제가 발생되곤 합니다.
3. 분노가 많습니다. 자주 짜증을 냅니다.
긍정적인 사람이 '긍정'을 찾는 것과는 달리,
부정적인 사람은 '부정'을 찾으며, 집중합니다.
이렇다 보니,
완전치 않는 세상으로 보이고 불만족스럽고,
화가 많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4. 의심이 많고, 사람들을 잘 믿지 못합니다.
부정적인 사람으로 살다 보면,
사람들의 단점과 잘못을 잘 찾아내며,
이로 인해 사람의 나쁜 면들만 우선적으로 보게 됩니다.
이것이 병적으로 될 때, 우울증, 사회공포증,
피해 망상증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낮은 자존감이 때문입니다.
사람들에 대한 불신과 자신에 대한 믿음의 부재로
부정적인 사람은 자존감이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
긍정적인 사람들의 7가지 특징
1.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열정을 다한다.
2. 실패에서 기회를 배운다.
3. 자신에게 정직하고 떳떳하다.
4. 남과 비교하지 않는다.
5. 자신의 신념에 따르기 때문에 동기부여에 빠르다.
6. 늘 자기 스스로를 개척한다.
7. 운동 등 자기관리를 한다.
'꿈 명언 사랑 연민 좋은글 모음 > 좋은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조와 진화, 구전의 성경과 인간이 만든신, 카르텔의 숙명! (0) | 2025.02.12 |
---|---|
인간의 자유의지, 잘못된 것은 벌을 받아야 한다. (2) | 2024.12.26 |
'네 믿음이 너를 구원하였다'라는 성경구절의 진정한 의미는? (0) | 2024.04.03 |
인간의 양면성과 이중성 선과 악/지킬 박사와 하이드 줄거리 (0) | 2023.04.11 |
분심分心으로 심란할 때 평온과 침잠을 바라는가? (0) | 2023.02.17 |